SK shieldus Rookies 9기/클라우드 기반 취약점 진단 및 대응 실무 2

취약점 진단 및 대응 실무 5일차 (22/10/21)

Docker 환경 취약점 분석 - vmware을 이용하여 ova 이미지 불러오기 ※ NAT로 변경 , Memory 4GB로 변경 $ ping docker IP (192.168.5.128) - 칼리 vm을 열어 docker로 ping 보내기 $ sudo nmap 192.168.5.0/24 $ sudo nmap -sV 192.168.5.128 -p- ※ -sV : 서버나 데몬의 버전 출력 ※ -p- : 모든 포트 점검 (지정 안 할 시 정해진 포트만 점검) $ sudo nmap -sV 192.168.5.128 -oX result.xml ※ -oX : 결과 값 xml 파일로 저장 $ sudo nmap -sC 192.168.5.128 -p- ※ -sC : 기본 스크립트로 대상 스캔 $ sudo nmap -sV ..

취약점 진단 및 대응 실무 4일차 (22/10/20)

도커 파일을 활용한 웹서버 구축 $ sudo mkdir web_docker $ cd web_docker $ sudo vim Dockerfile - web_docker 파일 생성 후 Dockerfile 생성 - Dockerfile 안 명령어 삽입하여 이미지 생성 $ sudo docker build -t docker_web . . // 현재 디렉터리 의미 ※ 파일명이 변경되었을 시 -f 옵션 추가 $ sudo docker images - docker_web인 이미지만 생성한 것 확인 $ sudo docker run -itd -p 8000:80 --name docker_web docker_web - 8000 포트로 docker_web 실행 - 칼리 안에서 localhost:8000로 접속하면 Dockerfil..